본문 바로가기

최종편집일 2023-05-29 16:16

  • 오피니언 > 사설

노원신문 988호 사설 - 다시 30년 앞에 놓인 노원

고밀도 정주도시냐? 경제도시냐?

기사입력 2023-02-06 15:07

페이스북으로 공유 트위터로 공유 카카오 스토리로 공유 카카오톡으로 공유 문자로 공유 밴드로 공유
0

다시 30년 앞에 놓인 노원

고밀도 정주도시냐? 경제도시냐?

하루가 다르게 하늘과 땅으로 치솟고 꺼지며 널뛰는 짒값이 베드타운 노원의 변화를 요구하고 있다. 재개발 재건축 이슈가 뜨거운 가운데 투자이익만 챙기려는 속셈이 아니라면, 3~4년 아이 키울 때만 머물다 가겠다는 심산이 아니라면 어떤 노원이 되어야 하는지 고민을 시작해야 한다.

어릴 때부터 살았다는, 신혼살림을 노원에서 차렸다는 사람들은 동네곳곳에 얽혀있는 추억의 공간들이 사라지는 것이 아쉽다고 하고, 같이 살던 이웃들이 그립다고도 한다. 더 이상 자식들에게 들려줄 이야기가 없어지는 것은 쓸쓸한 일이다. 긴 호흡으로 도시를 바라봐야 한다.

19921096만명에 이르던 서울시 인구는 2020991만명으로 줄어들었다. 21년에는 합계출산율 0.63명으로 출생아가 사망자에 못 미치는 자연감소를 시작했다. 이중 노원구는 아직 서울자치구 4번째의 인구수이지만, 지난 10년간 인구감소율은 서울시 평균 4.3%3배에 가깝다.

그러다 내년 22대 총선에서 선거구가 줄어들 것이라는 예상으로 지역 정계는 벌써 혼란에 빠져들었다.

이 같은 인구감소의 원인을 노후주택으로 꼽고 재건축, 재개발로 주거환경을 개선해야 한다고 한다. 도시계획 상의 규제를 최대한 없애고 용적율을 최대한으로 받아내 초고층아파트, 초고밀도 단지를 만들려고 한다.

통계자료에 의하면 노원의 인구가 줄어드는 동안 노원구의 면적, 주택수, 가구수는 줄어들지 않았다. 인구수는 가구당 인구에 비례하고 1인가구와 반비례했다.

수락산, 불암산 넘어 교외 신도시가 개발되면서 노원은 더 이상 베드타운 기능만으로는 유지가 곤란하다. 도시기반 시설을 초과하는 인구밀집을 부르는 고밀개발은 슬럼화를 초래할 뿐이다. 주거공급 중심의 인구대책은 오히려 도시문제만 가중할 것이다.

광운대역, 창동차량기지 개발을 통해 지역경제 자족성을 높이는 것은 당면과업이다. 4호선이 진접까지 연장되었다. 동북선 경전철도 한창 공사 중(26년 개통 목표)이다. 수도권광역급행철도(GTX-C) 덕정 연결(28년 완공 목표), 7호선 포천 연장(29년 완공목표)도 추진 중이다.

노원은 상업적 도심지로 전환해야 한다. 정주인구에 대한 고려와 함께 유동인구를 활용한 지역경제를 활성화하는 정책전환이 필요하다.

최근 들어 관계인구, 방문인구, 체류인구에 대한 연구가 활발하다. 올해부터 인구감소지역 지원 특별법에 생활인구 개념이 도입되었다. 집짓고, 출산장려하고, 정주를 지원하는 것으로 지방소멸을 막을 수 없다는 결론이자, 인구가 많은 것이 곧 살기 좋은 도시는 아니라는 것이다.

988 (100-b@hanmail.net)

댓글0

스팸방지코드
0/5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