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최종편집일 2023-05-29 16:16

  • 뉴스 > 노원구청

2023년 노원구 부서별 주요업무계획 - 교육복지국 8과 39팀

정리 김명화 기자

기사입력 2023-01-14 13:44

페이스북으로 공유 트위터로 공유 카카오 스토리로 공유 카카오톡으로 공유 문자로 공유 밴드로 공유
0

2023년 노원구 부서별 주요업무계획

1의회, 2, 1, 6, 1, 37, 1센터, 4지소, 19, 235, 1공단, 4재단

- 정리 김명화 기자

 

교육복지국 839

복지정책과 705139만원 (727149만원) 

-구민참여예산 : 우리동네 같이 돌봄 5천만원/ 든든한 동행 사업 2천만원-주거급여 4425880만원/ 긴급복지 309717만원/ 코로나19 생활지원비 93232만원

-국가유공자 수당 및 위문금 등 213500만원
 

-운영 : 노원보훈회관 17088만원/ 똑똑똑돌봄단 66028만원/ 자원봉사센터 56295만원/ 찾아가는 동주민센터/ 돌봄SOS센터

-지원 : 복지관 1064793만원, 기능보강 62746만원/ 보훈단체 24092만원/ 노원교육복지재단 71713만원/ 푸드마켓 3692만원

-관리 : 보건복지분야 사회복무요원 34687만원/ 사례관리사 1510만원

 

노원교육복지재단 71713만원

-후원금 사업 151070만원

-배분 : 사회복지 공모사업(비영리단체 복지사업 지원)/ 희망나눔 공모사업(동주민복지협의회 등 실무분과 사업비 지원)/ 정책틈새네트워크 지원사업(소규모 공공 및 비영리단체 사업비 지원)/ 수탁기관 지원사업

-지역네트워크 : 휠체어장애인 이동 차량(다람이카) 지원

 

생활복지과 12861217만원 (464240

-생계급여 10641947만원/ 교육급여 구비보조 24080만원/ 해산·장제급여 54043만원/ 의료급여 209590만원/ 서울형 기초보장 급여 12억원
 

-자활센터 운영 135568만원/ 자활근로 1178830만원/ 자활장려금 16147만원

-자산형성지원 326398만원 : 희망키움통장, 내일키움통장, 희망저축계좌 등

-저소득주민 명절위문금 72천만원/ 장례 24060만원/ 건강보험료 8400만원/ 의료급여관리사 지원 26166만원/ 저소득층 가사·간병 방문 32440만원

-정부양곡 배송비 53112만원

 

어르신복지과 26856100만원 (2917996만원)

-()어르신휴센터 운영 45천만원 : 민간협약체결

-건립 : 노원구민의 전당 내 노인회관 25600만원 설계업체 선정/ 2노인복지관 55천만원 상계동 963-5 5필지, 2426200만원/ 원터경로당 문화복합시설 총 1013216만원 23년 사유지매입~설계 공모

-기초연금 22588195만원, 66375명 예상/ 일자리 1678548만원, 노원형 152211만원/ 맞춤돌봄서비스 576227만원/ 장기요양보험 재가급여 32억원

-운영 : 수락노인종합복지관 177100만원/ 교통약자 무료셔틀버스 32881만원/ 어르신 생활시설(요양시설 등) 28121만원/ 어르신청춘극장 6개소/ 5070재능기부단 60/ 실버청춘카페 4개소/ 어르신복지센터(공릉 42504만원, 월계 53344만원)/ 시니어클럽 38915만원/ 50플러스센터 96241만원/ 일자리지원센터 24242만원

-지원 : 어르신급식 404010만원/ 경로당·어르신스포츠센터 187703만원/ 어르신 행사 13345만원/ 시니어봉사단 활동비·경로당프로그램 7395만원/ 장수축하금 12397만원

 

장애인복지과 9227325만원 (1523405만원

-()장애인단체 사무실(상계동 706-2,3번지. 노원역보미더클래스 기부채납) 조성 및 운영 36168만원 : 노원구 성장부모회, 한국뇌성마비협회 청우, 동주민복지협의회

-()무료 급식소 이전 설치 9838만원 : 하계동 9-8 공원 조성으로 상계11314 체육부지로 이전

-()발달장애인 자립생활지원센터 육성 지원 4107만원

-장애인연금 2022588만원/ 장애수당(기초) 353971만원, (차상위) 98819만원/ 기본급여 5141984만원/ 가산급여 75670만원

-중증장애인 자립생활 43085만원/ 장애아동 발달재활 144720만원/ 성인장애인 맞춤운동/ 시각장애인 안마서비스 25216만원

-지원 : 뇌병변장애인 비전센터 108500만원 : 한글비석로 432 기탄빌딩 1,4168/구립 장애인주간보호시설 33천만원 : 기탄빌딩 2,4165/ 장애인복지관 409027만원/ 발달장애인평생교육센터 7억원/ 동북권 거점장애인복지관(성민복지관)/ 장애인 가족지원센터 2361만원/ 장애인단체 활동지원센터/ 서울점자도서관(동일로 1335 대원빌딩)/ 장애인 이동기기 수리비 17750만원/ 장애인자립생활센터 3개소 12840만원/ 구립직업재활시설 다모인

-운영 : 장애인체육회/장애인편의증진기술지원센터(월계로 370 희성프라자) 13087만원/ 장애인친화미용실 2446만원/ 장애인일자리센터

-발달장애인 활동서비스 : 주간활동 95600만원/ 방과후 활동 36천만원

-장애인 일자리 : 복지 53320만원/ 전일제 149930만원/ 시간제 2190만원
 

 

여성가족과 16858116만원 (875271만원)

-()가사서비스 32560만원 : 임산부, 맞벌이, 다자녀 가정 중위소득 150% 이하

-어린이복합문화시설 건립 166272만원 : 하계동 252-6 외 필지, 연면적 9048. 지하1~지상 2, 설계 공모

-국공립어린이집 5개소 기능보강 15천만원, 환경개선 55800만원/ 민간어린이집 205개소 환경개선 46100만원

-영유아보육료 4483416만원/ 시간제 보육 13631만원/ 출산 장려 16300만원/ 첫만남이용권(국가 출산장려금 출생아 1인당 200만원) 385400만원 : 160명 예상

-부모급여(영아수당) 2217453만원 : 0~23개월, 예상인원 44325/ 가정양육수당 204558만원 : 0개월~취학년도 2, 월평균 1152/ 아동수당 2376566만원 : 0~95개월, 월평균 19805

-운영 : 다문화가족지원센터 33485만원, 특성화사업 35544만원/ 가족센터 44359만원/ 서울가족학교/ 1인가구지원센터/ 아이돌봄지원(돌보미 파견) 307664만원/ 공동육아나눔터/ 육아지원 코디네이터 6/ 건강가정지원센터 41998만원/ 육아종합지원센터 7603만원/ 노원 아이편한 택시 26620만원

-어린이집 지원 : 운영 1391517만원/ 영아·장애인 간식비·복리후생비·냉난방비 등 462932만원/ 보육교직원 인건비 2264687만원/ 보조교사, 연장교사 등 인건비 1055175만원/ 직접채용 대체교사 48754만원/ 영아반 연장보육교사·누리과정 등 683968만원/ 차량운영비 및 교재교구비 23878만원/ 장애아 통합시설 6567만원

 

아동청소년과 1703009만원 (466333만원

-결식아동 급식 : 476856만원

-지역사회서비스투자 67300만원
 

-아이휴센터 : 10개소 조성 35800만원/ 27개소 운영지원 86036만원/ 인력운영비 75127만원

-지원 : 청소년건강(생리용품 지원) 3459만원/ 아픈아이돌봄센터 12195만원/ 지역아동센터 23개소 71364만원, 인건비 65011만원/ 방과후 어린이집 3개소

-운영 : 공릉청소년문화의집 8866만원/ 상계청소년문화의집 55250만원/ 상상이룸센터 34402만원/ 청소년아지트 7개소 52305만원/ 청소년상담복지센터 97395만원/ 위탁형 대안교육기관 63086만원/ 청소년지원센터 꿈드림 2760만원/ 청소년 성상담센터 2472만원/ 청소년 안전망 통합지원센터 16832만원/ 온종일돌봄사업단 32509만원/ 드림스타트 29634만원/ 아동복지관 1395만원/ 아동보호전문기관 25915만원/ 학대피해아동쉼터 34530만원 : 입소 후 3개월 (최장9개월)/ 영유아전용 학대피해아동보호시설(다예) 34530/ 아동보호 전담요원 6

 

교육지원과 2246342만원 (136244만원)

-()가상현실 스포츠실 보급 14천만원 : 초등 2개교

-노원 혁신교육지구 92062만원

-교육경비보조 338926만원/ 고등학교 무상교육 3516만원/ 초중고 입학준비금 91444만원/ 친환경 무상급식 995310만원/ 유치원 무상급식 1235337만원/ 학교급식 우수식재료 공급 38124만원/ 도농상생 공공급식 81129만원

-운영 : 노원과학영재교육원 12736만원/ 수학문화관 56351만원/ 노원교육플랫폼 47777만원/ 노원천문우주과학관 105135만원/ 원어민 화상영어 48068만원/ 원어민 캠프 등 교육사업 43462만원

 

청년정책과 528471만원

-청년 지원 정책발굴 및 활동생태계 조성/ 노원청년아카데미/ 노원 오랑 48500만원/ 노원청년포럼 구성 : 청년(19~39) 및 청년활동기관/ 노원청년문화살롱(문화예술네트워크) 24430만원 : 청년주간 아트페어 전시, 청년아지트·청년문화살롱 위탁 운영

-지역현안을 위한 청년 펠로우십 5200만원 : 공릉동 청년 문화의 거리 조성/ 데이터 수집 캠페인 8천만원 : 공릉사람/ 공릉동 골목상권 청년상가 지원 3180만원 : 개소당 5천만원/ 우리 동네 주거 방위대 1천만원 : 서울시 청년정책거버넌스 특화사업, 우리 동네 청년 탐방단의 청년주거환경 지도 제작

-마음활력 프로젝트 2150만원 ; 청년50, 펫플로깅(반려동물과 쓰레기 줍기). 은하수 탐험 등 지방 청년과 교류/ 청년 지구생활 가이드 프로젝트 2550만원 : 기후위기 문제 인식, 주제탐색, 프로젝트 구성

-노원 공유마켓형 청년 플랫폼 조성 32000만원/ 청년팝업스토어 1101만원 : 상계1동 이담카페 리모델링/ 청년일자리센터 41960만원/ 청년 아웃도어 매니저 양성 1100만원 : 등산. 암벽등반. 트레킹 강사 양성/ 취약청년 자립을 위한 자활사업단 2억원/ 좌충우돌 청년창업 역량강화 코칭 클래스 1550만원 : 사업자 등록 방법, 금융·세무교육 등

-20대 청년 문화생활비 지원 52562만원 : 노원구 거주 2년 이상 20~29세 미취업 청년 5천명

-여성 청년 안전한 내집 만들기 3천만원 : 공릉동, 상계동 일대 거주 여성청년 1인가구 100가구 디지털비디오창, 현관보조키 등 여상안심 홈세트 지원

-청년도전지원 25700만원/ 취업 청년 함께서기 지원 5050만원

-특성화고 취업역량 강화 5천만원

-노원청년참여예산/ 청년 창업지원 17099만원/ 노원형(지역주도형) 청년일자리 63873만원/ 청년일삶센터 550만원/ 공릉동 청년일자리 플러스센터

-미취업 청년 스터디카페 이용권 지원 25700만원/ 청년마음건강 지원/노원구 도전숙(37세대)/ 청년 평생학습계좌지원제 3천만원 : 청년 200, 바우처 형식의 계좌제
 

노원신문

 

986 (100-b@hanmail.net)

댓글0

스팸방지코드
0/500